마골산을 찾아서! 2013. 12. 25 (수)
삼락YB등산동호회 2013년 마지막산행은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마골산을 찾았다.
영하의 날씨가 될것 같았는데 오늘은 맑고 포근하여 산행하기 좋응 날이였다.
남목초등 앞에서 10:00 집결
남목( 南牧)이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목장업무를 담당하던 곳이여서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오고 간길 :남목초- 물방골(옥류천)- 음덕골- 반티밀골- 범밭재 - 남근암 - 성두배기- 마골산 정상- 예비군 훈련장-염포정- 동축사- 물방골
물방골 옥류천 입구에 있는 간판이다. 오솔길옥류천계곡은 동구의 심장이고 허파라 할 정도로 동구민들이 즐겨찾는 곳이다.
옥류천을 오솔길을 가다보면 갈림길 반티밀골에서 직진하여 남근암으로 올라갔다.
음덕골(움덕골)은 음터진 골자기라는 뜻인것 같다.
정상을 오르다보면 산 중턱에 자리잡고있는 쉼터바위
나뭇군이 나무를 하고 내려오다 쉬었다는 바위라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건 또 뭡니까?
범밭재 "거북바위" 곁을 성공님이 거북이와 같이 엉금 엉금 올라 가고 있내요.
정상 가까이에 있는 남근암
기상이 늠늠합니까? 범밭재의 정기가 넘친다해서 " 남근암"
남근암 가까이에 있는 여근암 ( 일명 옥문암)
부부가 꼭 껴안고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서 " 부부암"
마골산( 麻骨山 ) 297m
동구의 기운을 주고있는 산이고, 마골산은 산세가 아름답고, 흰바위로 덮인 산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염포정
염포정 전망대에서 보면 울산은 공업도시임을 확실하게 느끼게 한다.
북쪽으로는 무룡산의 송신탑이 살며시 보입니다.
동축사 (*東竺寺 )
동축 동쪽에 있는 대나무가 아니고, 서축국(인도) 인도에서 동쪽에 있는 절이라는 뜻인것같다.
유래에 대해 자세히 올리지 못하니 찾아보도록 하세요.
동축사 삼층석탑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11호)
탑의 몸돌과 지붕이 한개로 되어있는 것 같고 좀 투박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석탑받닥에 두꺼비는 ? 나름대로 상상하세요.
즐거운 산행도 마치고 남목에있는 이조손칼국수집에서 들께 칼국수를!
칼국수는 가장소박하고 정겨운 음식이기에 즐겨찾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