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정암루와 진주성 답사 ; 2017. 5. 16 (화)

울산청길 2023. 2. 21. 06:06

2017 울산박물관대학 1학기 수강생들은 충절의 고장인 의령의 정암루와 진주성을 찾아갔다.

울산08;30-  의령 정암루, 솥바위11;00- 진주성착 12;00 -  점심 12;00~ 12;50 -
진주성과 진주국립박물관관람 13;00~15;00 -울산 착 17;30

의령 정암루에서 바라본 백마를 타고 있는 곽재우 동상

홍의에 백마를 타고 휘하에 17명의 장수와 수천 의병을 거느리면서 정암진,기강, 현풍, 창녕, 화왕산성, 진주성지역  전투에서 신출귀몰하는 전략, 전술로 왜적을 크게 무찌르고 백전백승함으로써 왜병의 전라도 진격을 저지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진주 목사를 지냈고, 한성부 우윤, 함경도 관찰사를 일시 역임하였다. 

장군은 사후에 병조판서 겸 지의금사에 추증되었다.

정암루     임진왜란때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홍의장군 곽재우와 그 휘하의병들이 목숨을 다 하여 왜군을 무찔렀던 정암진에 있는 루이다.

의령의 관문 정암교는 의령의 관문이자 함안군과 경계를 짓는 남강(南江 또는 鼎江)의 정암 철교아래 강물속에는 솥 뚜껑을 닮은 바위가 있으니 솥바위(鼎岩)라 한다.
옛부터 정암진(鼎岩津)으로 도선장이 있었고, 임진왜란때는 망우당 곽재우장군이 
왜적을 막았던 정암진에, 솥바위는 반쯤 물위에 드러나면 물밑에는 솥다리 처럼 세개의 큰 기둥이 받치고 있다하여 솥바위라고 한다.

 진주성 북쪽에 있는 공북문(拱; 두 손 맞잡을 공) 입구에서  이,김,하, 천, 엄공,그리고 나

공북문 앞 매표소에서

拱北問은" 북쪽에 계시는 임금님을 향해  두 손을 모아 공경의 뜻을 표한다."는  의미를 가진 문이라고 합니다

.

탐방코스 단체로 갔지만 인원이 많아서 주로 각자 탐방했다.

*탐방하기 전에 약도를 마음에 그려 두고 탐방하면 도움이 될것이다.

 

10.공북문- 8.김시민장군 동상 - 11.진주성 우물 - 1.촉석루 .-2.의암 - 3.의기사 - 7.쌍충사적비 -13. 진주박물관 -15.서장대 -17.호국사1.-16.창렬사 -14.포루 - 12.북장대 - 경절사- 9.영남포정사 - 10.공북문

김시민 장군 동상입니다. 충무공하면 이순신 장군이 떠올리는데 ......

충무공 김시민 장군은 진주성을 수호한 장군이다. 높이 7m

하나라도 더 알고 싶은가 봅니다.

촉석루 바로 동쪽에 있는 촉석문이다.

촉석루(矗石樓) 밀양의 영남루, 평양의 부벽루와 함께3대 누각이다.

촉석루는 진주성의 남쪽벼량 위에 장엄하게  우뚝 자리잡고 있고 영남 제일의 아름다운 누각임을 자랑한다.

촉석루 바닥에 앉아서 해설사가 촉석루에 대하여 설명하여 주신다.촉석루 천장 남쪽벽에는 "남장대" 라고 크게 써있다.

전시에는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 평화로운 시절엔 풍류를 즐길만한 곳이다.

천정 가운데는 "晉陽溪山致 嶺南第一"이라고 적혀있었다.

 진주의 아름다운 산천은 영남에서 제일이다.라는 뜻인가 봅니다.

촉석루에서 남강쪽으로 통하는 계단인데, 내려가면 "의암 (義巖)"이다.

바위 벽면에는 "義癌"이라는   글자가 새겨져있다.

임진왜란 제2차 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자 논개가 의암에서 왜장을 끌어안고 남강에 투신하여 순국한 바위이다.

논개의 넋을 기리기 위해 영정과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촉석루 바로 서쪽 옆에 있다.

쌍충각

2017년 울산박물관대학 수강생들!

국립진주박물관은 임진왜란 최대격전지의 하나인 진주성에 위치하고 있고,1984년  11월 2일에 개관하였다.

우리나라 전통 목탑을 형상화한 박물관건물로 임진왜란실, 역사문화실, 두암실로 크게 나누어있다.

 창렬사(彰烈祠)

북장대,일명 진남